본문 바로가기

폰트 정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무료서체 추천 3가지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자이너 차미입니다. 저번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깔끔한 고딕과 명조 서체 추천에 대해 포스팅해 봤습니다.

 

 

제목으로 사용하기 좋은 깔끔한 무료 폰트 3가지 추천

오늘은 제안서 표지로 사용하기 좋은 깔끔한 무료폰트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에는 기획자나 디자이너가 아니더라도 학교나 직에서 일상적으로 발표를 요구하고 또한 그에 맞는 발

chamydesigner12.tistory.com

 

깔끔한 무료 명조체 추천 3가지

저번 포스팅에서는 제목으로 사용하기 좋은 깔끔한 고딕 서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목으로 사용하기 좋은 깔끔한 무료 폰트 3가지 추천 오늘은 제안서 표지로 사용하기 좋은 깔끔한 무료

chamydesigner12.tistory.com

 

이제 기본은 배워봤으니 앞으로는 한발 더 나아가 오늘은 포인트가 될 수 있는 고급스러운 무료 서체 3가지에 대해 포스팅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카페 24 클래식 타입

 

카페 24 클래식 폰트는 전자 상거래 전문 플랫폼 카페 24에서 배포하고 있는 무료서체입니다. 가로와 세로획에 리듬감이 느껴지는 명조 계열인 듯하다가도 곡선보다는 직선적인 느낌이 강해서 고딕의 특징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서체의 가장 큰 특징은 끝이 둥글게 말리는 형태입니다. '클래식'이라는 이름과 잘 어울리며, 이 서체를 사용하면 고전적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경성을 무대로 한 연극 포스터에 쓰일 법한 서체이며 만약 고전적이고 고급스러운 느낌, 또는 레트로한 느낌의 디자인을 하기 원한다면 카페 24 클래식 타입을 사용해 보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굵기를 regular 한 가지로만 지원하고 있어서 굵기 선택의 폭이 좁다는 것입니다.

 

이런 특징이 있는 서체를 사용하실 때 아시면 좋은 팁이 하나 있는데요, 이런 서체의 경우에는 폰트자체로도 디테일이 많기 때문에 제목에 포인트로만 사용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위에 예시 이미지를 보시면 왼쪽은 본문에도 카페 24 클래식을 사용했는데 확실히 디테일이 많아 복잡해서 가독성이 떨어져 보이죠? 반면에 오른쪽은 타이틀에 포인트를 주면서 본문은 고딕서체를 사용해 가독성을 살린 걸 볼 수 있습니다. 타이틀에는 포인트 서체, 본문에는 가독성이 좋은 고딕이나 명조서체를 사용하기, 꼭 기억하세요!

카페 24에서는 클래식타입 이외에도 다양한 서체들을 무료로 배포하고 있으니 한번 둘러보시기 바랍니다.

 

 

2. 국립박물관문화재단 클래식

 

국립박물관문화재단에서 창립 14주년을 맞이해 나온 서체입니다. <국립박물관>이라는 위엄에 맞게 붓으로 꾹꾹 눌러쓴 서예 같은 느낌이 납니다. 이 서체의 장점 중 하나는 3가지 굵기의 타입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보통 이런 포인트 서체들은 한 가지의 굵기만 제공하는데 박물관문화재단 클래식은L, M, B 3가지를 제공하네요. 디자인 작업을 하다 보면 이런 디테일한 굵기가 중요할 때가 있답니다.

 

 

 

3. HS봄바람체 2.1

 

 

HS봄바람체 2.1은 토끼네활자공장 산하 서체연구동에서 개발한 무료 서체입니다. 서체 끝에 2.1이라는 숫자는 버전을 의미하는데, 이 서체가 나온 2017년에는 2.0이었고 거기에서 조금 더 보완을 해서 2022년에는 4.0이라는 이름으로 나왔고, 거기에 또 더 발전을 하여 지금의 2.1으로 나온 상태입니다. 계속해서 부족한 부분을 수정, 보완해서 그런지 디테일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굉장히 조형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깔끔한 느낌이 듭니다. 저도 예전에 처음 나온 봄바람 2.0을 사용해 본 적이 있는데 그땐 자음모음 간의 간격이라던지 그런 부분이 불완전했던 기억이 있지만 지금은 전혀 그런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위에 2가지 폰트에 비해서 조금 더 세련된 느낌이 강해서 대중적으로 많이 쓰일 수 있는 폰트입니다.


 

 

이상으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무료서체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적재적소에 본인의 디자인에 어울리는 폰트를 선택하시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