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트 정보

명조체와 고딕체, 세리프와 산세리프체의 차이 알아보기

디자이너 차미 2024. 1. 22. 22:44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자이너 차미입니다. 오늘은 서체 모양의 기본인 명조체와 고딕체, 세리프와 산세리프 서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우선 명조와 고딕은 한글서체에 적용되는 단어고 세리프와 산세리프는 영문서체에 적용되는 단어입니다. 명조와 세리프는 한글과 영문의 차이만 있을 뿐 같은 계열의 서체이며, 고딕과 산세리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글로만 보면 와닿지 않으시죠? 천천히 이미지와 함께 쉽게 설명해 드릴 테니 걱정마시고 따라오세요!

 

 

 

명조체,  세리프체

 

명조체와 세리프체는 획과 삐침이 강조되어 있는 서체입니다. 세리프라는 단어는 프랑스어이고 <활자 끝부분에 붙은 돌기, 뻗침>을 의미합니다. 선의 두께가 두꺼워졌다가 얇아지기도 하며 강약이 있습니다. 명조체는 가독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책의 본문으로도 많이 쓰입니다. 부드럽고 감성적인 느낌을 주고 싶을 때 명조체를 사용합니다.

 

책의 본문으로 쓰이는 명조체

 

 

고딕체, 산세리프체

 

serif 앞에 붙은 sans는 프랑스어로 '없음'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산세리프는 '활자 끝부분에 뻗침이 없다' 라는 의미입니다. 한글로는 고딕에 해당하는 서체이며 굵기가 주로 일정하고 강약이 없는것이 특징입니다. 명조체에 비해 주목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시선을 끌기위한 타이틀로 많이 사용합니다. 제목으로 사용하기 좋은 고딕 서체는 한번 포스팅해 두었으니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제목으로 사용하기 좋은 깔끔한 무료 폰트 3가지 추천

오늘은 제안서 표지로 사용하기 좋은 깔끔한 무료폰트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에는 기획자나 디자이너가 아니더라도 학교나 직에서 일상적으로 발표를 요구하고 또한 그에 맞는 발

chamydesigner12.tistory.com

 

 

 

 

 

그래서 요즘 트렌드는 뭐야? 명조 vs고딕 /  세리프 vs산세리프

 

요즘에는 인쇄물보다 디지털에서 서체를 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는 아무래도 디테일이 많은 명조보다는 고딕체가 더 눈에 띕니다. 이 트렌드에 맞추어서 많은 브랜드들 역시 로고를 명조에서 고딕으로, 세리프에서 산세리프로 바꾸고 있는 추세입니다.

 

위에서 보시면 아시듯 전통성을 중시하는 명품브랜드조차 고전적인 느낌의 세리프체를 버리고 디지털환경에 적합한 고딕서체로 바꾸고 있습니다. 과거보다는 미래를 중시한 선택이라고 볼 수 있겠죠. 구글도 처음에는 세리프 서체의 로고를 사용했었지만, 2015년 고딕서체로 변경했습니다. 한국브랜드 중에서는 최근에 화장품 브랜드인 이니스프리가 자연적이고 감성적인 세리프체(명조)를 버리고 산세리프체(고딕)로 바꾼 사례가 있겠네요.

 

 

 

 

서체에서도 콜라보레이션이 뜬다!

 

많은 분야에서 콜라보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서체도 예외가 아닌데요, 명조 혹은 고딕으로 딱 떨어지는 서체뿐만 아니라 명조와 고딕이 반반 섞인듯한 형태의 서체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적재적소에 잘 쓰면 명조의 장점과 고딕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지만, 반대로 잘 쓰지 못하면 이도저도 아닌 서체가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해서 쓰셔합니다.

 

 


 

이상으로 명조와 고딕, 세리프와 산세리프의 특징과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디자인 퀄리티의 반 이상이 서체에 좌우된다고 할 수 있는데요, 오늘 말씀드린 기본적인 것만 알고 있어도 서체 사용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거예요.